▲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11일 오후 3시30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제주지역 여성중증장애인의 생활실태 및 지원방안'에 대한 정책토론회를 진행했다.
[제주도민일보=안서연 기자] 제주지역 여성중증장애인의 과반수가 ‘장애’를 이유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장애유형을 고려한 취업지원정책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양육·의료·교육·교통 등에 대한 지원도 강조됐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11일 오후 3시30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제주지역 여성중증장애인의 생활실태 및 지원방안’ 정책토론회를 열고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앞서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지난 2월부터 8월까지 도내 만 19세 이상 여성중증장애인 300명을 대상으로 경제생활, 가족생활, 건강 및 의료, 안전, 여가·문화·교육, 복지욕구 등에 대한 1:1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를 장애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적장애가 28%, 지체장애 26%, 뇌병변장애 13%, 시각장애 12.7%, 청각언어장애 11.3%, 정신장애 4.3%, 내부기관장애 3.3%, 자폐성장애 1.3%를 차지했다.

제주 여성중증장애인 지원정책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의 절반 이상(57.3%)이 현재 직업이 없어 경제활동과 관련한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취업자 53.4%가 취업을 원하지 않았는데,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장애로 인해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것 같아서(72%)’가 주효 원인으로 꼽혔다.

또한 ‘일해 본 경험이 없어서(7.5%)’, ‘이전에 찾아가봤지만 일자리가 없어서(3.2%)’,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선입견 때문에(3.2%)’ 등의 이유도 있었다.

이에 응답자들은 경제활동참여를 위한 지원정책으로 ‘취업알선, 일자리정보제공, 장애인특별채용 등 취업지원(22.5%)’과 ‘취업 후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18.5%)’을 요구했다.

지적·정신장애인의 경우에는 ‘장애인만을 위한 별도 작업장 근로’, ‘직업능력 개발훈련’에 대한 정책욕구가 높아 장애유형을 고려한 취업지원전략과 사업장 발굴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와 관련해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도내 여성중증장애인 고용률이 가장 낮은 기관이 공공기관과 정부관련 기관으로 나타났다”며 “공공기관에 여성장애인 의무고용을 강화하고 동시에 ‘여성장애인 고용친화사업장인증제도’를 신설해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 이연화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연구원이 '제주지역 여성중증장애인의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여성중증장애인들은 또 임신·출산 지원과 맞춤형 자녀양육 지원 정책에 대한 욕구도 강하게 표출했다.

 

이에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의료기관 내 장애인 편의시설확충 등 장애인에 대한 배려’와 ‘산후조리 관련 비용지원 확대’, ‘자녀양육비 및 교육비 지원’ 등을 꼽았다. 자폐성 장애인의 경우에는 대리응답자인 부모 대부분이 ‘육아지원’을 갈망했다.

특히 자녀 교육비 부담을 덜기 위한 아동·청소년 학습지원 멘토링 서비스 지원, 청각언어장애부모의 자녀에게 언어바우처사업, 자녀가 아플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응급벨 설치 등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됐다.

여성중증장애인들이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가장 불안감을 느끼는 분야는 ‘외출’이었다. 대중교통이용 불편이나 교통사고 등에 대한 불안 때문이다.

이에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이들의 안전을 위해 장애인 콜택시 증차가 필요하다”면서 “관련 교통수단과 시설 내 장애인 편의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지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위반 사업체의 경우 패널티를 제공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40%가 도내 여행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여가문화생활 확대를 위한 지원도 강조됐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여성장애인의 외출, 여가문화생활은 사회참여의 통로”라며 “경제적 상황이 열악하기 때문에 도내 관광지 요금을 완화하고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참여 활성화를 통해 여가·문화·교육을 지원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특히 지체·자폐성장애인의 경우는 ‘문화예술교육’, 뇌병변장애인은 ‘컴퓨터 및 인터넷교육’, 시각·지적장애인은 ‘취업지원교육’, 청각언어장애인은 ‘한글교육’, 정신장애인은 ‘자녀양육 및 부부관계교육’을 필요로 함에 따라 장애유형을 고려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지원이 요구됐다.

더불어 여성중증장애인의 복지 증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업으로 ‘의료 및 생활비 지원사업’이 꼽히면서 장기적인 치료 등으로 인한 지원사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이연화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연구원의 발표에 이어 전영록 제주관광대학교 교수, 김경미 제주여성장애인상담소 소장, 강호철 서귀포시장애인종합복지관 사무국장의 참여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