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제주해녀문화' 무형유산 보호 전승·보전 화두로

'제주해녀문화' 무형유산 보호 전승·보전 화두로

  • 김진희
  • 승인 2017.11.30 13: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1년 성과와 과제
 

 공동체 인정·문화 인식 확산…해녀유산지원과 신설 등 대응 후광효과 문화 행사 쏠림, 내부역량 강화 등 정책 전환 주문 '제주해녀문화(Culture of Jeju Haenyeo)'가 달라졌다. 정확하게 말해서 제주해녀문화를 바라보는 안팎의 시각이 바뀌었다. 1년 전인 지난해 11월 30일(현지시간) 에디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제11차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제주해녀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결정이 내려진 뒤 나타난 변화다. △가치 재평가 제주 수산업의 한 부분으로 독특한 지역색을 지닌 문화 아이템으로 여겨졌던 제주해녀문화는 이제 여성을 중심으로 치열하게 이어진 삶과 역사, 개인에 머물지 않는 공동체의 유대,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다양성 상징을 등으로 가치재평가가 이뤄졌다. 제주해녀와 해녀문화에 대한 변화된 관심은 제주해녀공동체를 상징할 수 있는 가장 큰 ㈔제주해녀협회 창립(4월)과 국가 무형문화재 지정(132호·5월) 등 일련의 과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주특별차지도는 고령해녀 수당 지급 등을 내용으로 한 '제주특별자치도 해녀어업 보존 및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5월)했는가 하면 관련 정책을 전담할 해녀문화유산과를 신설했다. '해녀문화'를 공식하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에 목적을 뒀던 1차 5개년 계획(2012∼2016년)에 이어 지난 10월 제주 해녀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이후 해녀문화 보전·전승에 초점을 맞춘 2차 5개년(2017∼2022년) 기본계획도 수립했다.
 △내부 역량 강화 과제로 유네스코 후광 효과는 다양한 문화 행사 활용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 장르를 망라해 '해녀'를 다루지 않은 것이 없을 만큼 많은 행사가 제주는 물론 국내·외에서 줄을 이었다.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제주해녀'에 특정하는 것은 형평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과 더불어 부산(기장군 등)과 강원도 등에서 해녀 문제를 꺼내기 시작했고, 출향해녀에 대한 관심과 지원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 과정에서 제주해녀가 아닌 '한국 해녀'가 국가지정무형문화재가 됐고, 현재 추진 중인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는 '해녀어업'으로 그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고령화 등의 이유로 줄어드는 해녀 수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 역시 '신규 해녀 양성'이란 원론적 접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등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전문가로 문화재청 무형문화재 위원인 박상미 교수(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는 "유네스코 관점에서 미래지향적인 '보호'를 검토하고 해녀에 문화적 자부심을 부여해 보호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제주를 중심으로 해녀와 관련한 다양한 문화를 발굴·활용하고 보호하는 등의 방안이 나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와 보호협약 등을 다룰 제12차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가 오는 12월 3일부터 9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이번 위원회에는 전세계 24개 위원국의 대표단을 비롯해 175개 협약국의 대표단, 유네스코 사무국, 비정부기구, 전문가 등 약 1000여 명이 참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진행하는 이번 행사는 문화재청과 유네스코, 제주특별자치도가 공동개최한다.
고 미 기자 popmee@hanmail.net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